【아두이노】아두이노 설치 및 RGB LED 작동

728x90
SMALL

1. 아두이노 설치

 

아두이노 스케치 설치는 아래 사이트에서 할 수 있다.

https://www.arduino.cc/en/software

 

2. 라이브러리 설치

 

아두이노 라이브러리는 여러 함수들이 모여 있는 것이다. 마치 도서관에서 필요한 책을 꺼내 보듯, 필요한 기능이 있으면 그 안에서 함수를 골라서 사용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 없이 함수를 정의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효율성의 측면에서 라이브러리는 필수적으로 알아야한다.

라이브러리는 좌측 바 세번째에서 설치할 수 있다.

 

이번 실습에서는 HuemonelabKit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였다.

 

3. RGB LED 작동 준비

 

RGB LED 작동에 필요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다.

 

점퍼선을 이용해 아두이노 우노와 RGB LED를 연결한 후, USB 케이블을 이용해 아두이노 우노와 컴퓨터를 연결한다.

이때 아두이노 우노와 RGB LED는 다음과 같이 연결한다.

 

실제로 연결한 사진들이다. RGB LED와 아두이노 우노를 먼저 연결한다.

그 후 컴퓨터와 아두이노 우노를 연결한다.

 

4. RGB LED 코드 작성

 

아두이노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코드를 작성한다. 

 

 

#include <HuemonelabKit.h>

RGBLed rgb(9, 10, 11);

void setup () {
}

void loop () {
  rgb.setColor(255, 0, 0);
  delay(1000);

  rgb.setColor(0, 255, 0);
  delay(1000);

  rgb.setColor(0, 0, 255);
  delay(1000);
}

 

이때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작성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코드보다 매우 길고 복잡한 것을 알 수 있다.

 

//휴몬랩 라이브러리 없이 코드를 작성할 경우
int Red = 11;
int Green = 10;
int Blue = 9;
 
void setup()
{
  pinMode(Red, OUTPUT);
  pinMode(Green, OUTPUT);
  pinMode(Blue, OUTPUT);  
}
 
void loop()
{
  analogWrite(Red, 255);
  analogWrite(Green, 0);
  analogWrite(Blue, 0);
  delay(1000);
   
  analogWrite(Red, 0);
  analogWrite(Green, 255);
  analogWrite(Blue, 0);  
  delay(1000);
 
  analogWrite(Red, 0);
  analogWrite(Green, 0);
  analogWrite(Blue, 255);    
  delay(1000);
}

 

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RGB LED가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28x90
LIST